전체 글 72

고려 역대 왕 계보 34명의 군주가 남긴 발자취

고려 왕조는 918년 태조 왕건이 건국하여 1392년 공양왕이 폐위될 때까지 약 475년 동안 지속되었습니다. 고려는 군주제 국가였으며, 총 34명의 왕이 즉위하며 나라를 다스렸습니다.고려 전기 (918~1170) - 왕권 강화와 체제 정비1. 태조(太祖) 왕건 (918~943) - 고려 건국과 후삼국 통일후삼국을 통일하고 고려를 건국하였습니다. 혼인 정책과 회유책으로 호족을 통합하며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였고, 북진 정책을 통해 영토 확장을 시도하였습니다.2. 혜종(惠宗) (943~945) - 왕권 불안과 내분태조의 장남이었으나, 재위 기간이 짧고 왕위 계승 과정에서 혼란이 발생하였습니다.3. 정종(定宗) (945~949) - 거란 대비와 수도 이전 시도거란의 침입에 대비하여 광군(光軍)을 조직하였으며,..

한국사 2025.03.17

조선 역대 왕 계보 27명의 군주가 남긴 발자취

조선 왕조는 1392년 태조 이성계가 건국하여 1910년 대한제국이 멸망할 때까지 518년간 지속되었습니다. 이 기간 동안 조선을 다스린 왕은 총 27명으로, 각기 다른 정치적·사회적 배경 속에서 나라를 이끌었습니다.조선 전기 (1392~1592) - 건국과 안정1. 태조 (1392~1398) - 조선 건국고려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건국하였으며, 한양을 수도로 정하고 유교를 국가 이념으로 삼았습니다.2. 정종 (1398~1400) - 짧은 재위와 양위왕자의 난 이후 즉위했으나, 태종에게 왕위를 넘기고 물러났습니다.3. 태종 (1400~1418) - 강력한 왕권 확립사병을 혁파하고 6조 직계제를 도입하며, 중앙집권적 체제를 확립했습니다.4. 세종 (1418~1450) - 문화와 과학의 황금기훈민정음을 창제하..

한국사 2025.03.16

고구려의 거센 파도 속에서 – 백제 아신왕의 생존 전략

백제의 제17대 왕인 아신왕(阿莘王)은 392년부터 405년까지 재위하며, 고구려의 남진 정책에 맞서 백제를 지키기 위해 노력한 군주였습니다. 그러나 그의 통치 기간은 백제가 국력을 회복하기보다는 점차 쇠퇴하는 시기로, 특히 광개토대왕의 침략으로 큰 타격을 입게 되었습니다.고구려의 압박과 영토 상실아신왕이 즉위하던 시기는 고구려가 광개토대왕을 중심으로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영토 확장을 시도하던 때였습니다. 백제는 오랫동안 한반도 중부 지역을 장악하며 세력을 떨쳤으나, 395년 광개토대왕이 직접 군을 이끌고 백제를 공격하면서 상황은 급변했습니다. 이 전투에서 백제는 한강 이북 지역을 비롯한 주요 영토를 상실하였고, 이후로도 고구려의 지속적인 공세에 시달리게 되었습니다.왜국과의 외교 관계 강화국내적으로 ..

한국사 2025.03.03